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5년 개정 세법 총정리 | 결혼·출산·양육 세금 혜택 한눈에!
    재테크 공부 2025. 3. 25. 09:17
    반응형

     

    2025년 개정 세법 안내

    안녕하세요. 돈 키우는 일기입니다.

    2025년부터 적용될 세법 개정안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민생 경제 회복과 서민 생활 지원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세제 혜택과 조정 사항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정 세법의 핵심 내용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2025년 개정 세법 주요 변경 사항

    • 결혼 세액 공제 신설
    • 출산 및 양육 세액 공제 확대
    • 거주자 판정 기준 보완
    • 조각 투자 상품에 대한 배당 소득 과세
    • 임직원 할인 혜택 과세 기준 명확화
    • 기업 출산 지원금 비과세 적용 확대
    • 상속세 공제 기준 완화

     

    결혼 세액 공제 신설

    항목 내용
    공제 대상 혼인 신고 후 3년 이내 부부
    공제 금액 최대 300만 원
    적용 소득 기준 부부 합산 연소득 8천만 원 이하

    출산 및 양육 세액 공제 확대

    구분 기존 공제 금액 개정 후 공제 금액
    첫째 아이 출산 200만 원 300만 원
    둘째 아이 출산 300만 원 500만 원
    셋째 아이 이상 출산 500만 원 1,000만 원

    거주자 판정 기준 보완

    기존에는 1년 내 183일 이상 거주하면 거주자로 인정되었지만, 2026년부터는 과세 기간이 연속으로 183일 이상일 경우에도 거주자로 판정됩니다.

     

    조각 투자 상품 배당 소득 과세

    그림, 부동산, 저작권, 한우 등 조각 투자 상품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이 배당 소득으로 과세됩니다. 2025년 7월 1일부터 적용되며, 이에 따른 배당 소득세율(15.4%)이 부과됩니다.

    임직원 할인 혜택 과세 기준 명확화

    기업이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시가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할 경우, 해당 할인 금액이 근로 소득으로 간주됩니다. 단, 시가의 20% 또는 연 240만 원 중 큰 금액이 비과세됩니다.

    기업 출산 지원금 비과세 적용 확대

    기업이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출산 지원금은 기본적으로 근로 소득이지만,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전액 비과세됩니다. 이는 2024년 1월 1일 이후 소급 적용됩니다.

    상속세 공제 기준 완화

    2025년부터 상속세 공제 한도가 기존 5억 원에서 7억 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이는 가업 승계를 위한 지원 정책의 일환입니다.

    마무리

    이번 세법 개정으로 다양한 세제 혜택이 마련되었습니다.

    • 결혼을 계획하고 있다면 공제 혜택을 꼭 확인하세요!
    • 출산 예정이라면 세제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
    • 임직원 할인 혜택의 과세 기준이 변경되었으니 주의하세요!
    • 조각 투자 수익이 배당 소득으로 과세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앞으로도 유용한 세금 정보와 재테크 팁을 계속 공유해드리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